찬란하게

[Product Owner] 프로덕트 오너 #2 제1장 프로덕트 오너는 미니 ceo다 본문

IT 지식/book 리뷰

[Product Owner] 프로덕트 오너 #2 제1장 프로덕트 오너는 미니 ceo다

체리핫 2022. 5. 13. 19:59

1장 프로덕트 오너는 미니 ceo다

 

po는 중심에 있다

 

po는 모든 사람이 지켜보는 존재. 
실질적으로 고객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끊임없이 분석하고, 선보이려는 서비스가 사업 목표와 부합하는데 검증
개발자/디자이너 같은 메이커와 새로운 기능 만들기 or 기존 서비스 개선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질문에 대답, 결정을 내려줘야 함

고객을 대신해서 고민 : 개발 자원과 시간은 한정.
-> 1. 고객 요구사항 경청  2. 우선순위 선정 3. 사업 목적과 부합하는가 확인 
--> 메이커들과 소통 / 사업적 비용 고민 / 운영단, 고객문의, 법률팀 검토

금주, 유산소, 명상, 스트레칭 -> 마음 안정 -> 자극에 반응 x,  차분히, 긍정적인 마인드 
감정과 직관에 치우치지 않고, 사실을 기반으로 모두를 위한 최선의 우선순위와 결정을 내려야 한다!
독재자랑 리더는 안된다


협업하는 메이커들 항상 살피기
ex) 다른 회의에서 나온 내용 정리 후 공유, 고객과 나눈 대화 설명, 그들이 가장 편한 회의실 예약, 개발자 정기 면담

po는 누군가에게 결정을 통보하고, 실행하는 ceo가 아니다.
그 누구보다 더 저자세로 임하고, 경청하며, 사실만을 토대로 설득을 거듭하는 고독한 자

 

책임은 있지만 권한은 없다

 

돌발상황 발생 : 레이아웃 이상하게 뜸

-> 문제가 발생하면 긴장
ETA(완료 예정시간) 

고객에게 언제 해결될지 알려주고 싶은 마음 vs 일 초라도 빨리 고칠 수 있도록 개발자의 집중력을 흐트리고 싶지 않은 마음

평정심 유지!

--> po로서 모두를 위해 결정을 내려야 함!
==> "이전 버전으로 롤백!"

감정적으로 대처해봐야 그 누구에게도 이득 될게 없다.
우리의 목적은 직/간접적으로 영향 받는 고객 모두가 최상의 경험을 얻는 것
이번 기회를 통해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대처

po는 설득의 연속
최대한 구체적인 사실을 서술하거나 설명해주는 것이 po의 역할
자신의 실력을 끊임없이 증명하면서 다른 이들에게 존중받아야 한다.
언제나 겸손 
고객에 집착하고 또 집착하라
고객을 직접 이해하려는 노력

po의 시초 
-> 브랜드맨 (1931년 P&G 생필품 제조사) : 제품 개발, 출고, 유통, 마케팅, 데이터 분석, 고객과 동료의 피드백 책임자 
-> 프로젝트 매니저 (1995년 HP, 도요타..) : 현지현물 - 가서 직접 봐라

-> 넷플릭스 : as is 평점 서비스 to be 업 앤 다운 + 선호도 유사 퍼센트

고객에게 감동을 줄 수 있도록 ... 고객에게 얼마나 큰 감동을 줄지 설명하는 po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