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데이터 분석
- 데이터3법
- AI
- 자료형
- 개인정보보호법
- 도커
- 파이썬
- 데이터분석
- AWS
- 웹모의해킹
- 코테
- 컴퓨터 구조
- 시저암호
- XSS 취약점
- 개인정보보호
- 웹 모의해킹
- 함수
- 알고리즘
- 회귀분석
- 프로그래머스
- 파이썬 문법
- 코딩테스트
- 정보보안
- 코딩테스트 연습
- vagrant
- 머신러닝
- docker
- 클라우드
- 마이데이터
- 백준
- Today
- Total
목록자료형 (4)
찬란하게

자료형 함수 함수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 1) 효율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한 고민 2)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자 3) 코드를 모듈화 하자 4) 함수 또는 객체를 사용하자 함수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코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이다. - 함수 = 코드의 모음 data는 함수 바깥에 존재하면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인다. 함수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면서 개발 비용을 줄일 수 있었지만, 유지보수비가 올라갔다. data의 구조나 자료형이 바뀔 때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클래스 객체지향 패러다임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코드를 모듈화 하였다. 모듈화 방식은 2가지가 있다. 1) 모듈 단위를 함수로 2) 모듈 단위를 객체로 모듈 단위를 함수로 만들었을 때는 데이터가 함수 바깥쪽에 위..

자료형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s/w는 data + 코드이고, 자료형은 data를 담을 때 어떤 그릇에 담는가를 나타낸다. 자료형에 따라 적절한 코드(=명령어=기술)를 선택할 수 있다.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data들을 분석에 적합한 그릇에 담아줄 수 있다. numpy, pandas 라이브러리는 자료구조를 지원해주는 게 핵심이다. 딕셔너리 KEY:VALUE 형태이다. SET set은 집합 자료형이다. 중복이 없고, 들어오는 순서도 중요하지 않다. 값 자체에 집중한다. 집합 연산도 가능하다. bool bool은 논리 값을 갖는다. 함수 프로젝트 관리법 - 애자일 함수의 등장 배경은 s/w공학과 함께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기술의 발전은 cost를 줄이는 것부터 시작된다. 공학은 ..

파이썬의 등장 배경 1. 파이썬은 인간다운 언어 2. 무료이지만 강력 3. 간결 4. 프로그래밍을 즐기게 해 준다. 5. 개발 속도가 빠르다. 6. 원소스 멀티 유즈 – GUI, 웹, 시스템… 파이썬은 시대에 흐름에 맞춰 나온 언어이다. 지금 시대는 기계가 인간에게 와주길 바란다. (앞으로 얼마나 더 인간에게 가까운 언어가 등장할까..?) 파이썬은 c언어와 비교해서 인간에게 더 가까운 언어이다. 그래서 더욱 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다. 간결하고, 개발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원소스 멀티 유즈라는 강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분석을 위한 파이썬 R vs Python vs etc -R : 수학 통계 기반 -Python : 머신러닝 or 딥러닝 다양한 라이브러리 제공 R과 비교해서 파이썬..

강사님께서 정말 중요한 말씀을 하셨다! "디테일을 외우려 하지 말고, 전체적인 그림을 봐라!" 프로그래밍을 들어가기 앞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컴퓨터 구조를 파악하고, 기억하는 것이다. 컴퓨터 구조 : H/W + S/W - 컴퓨터는 H/W + S/W로 구성 - H/W : 반도체 소자,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 - S/W : 명령어들과 DATA의 집합 - H/W와 S/W와 2 계층 구조는 S/W가 H/W에 지나치게 의존적이다. 따라서 H/W가 변경될 때 S/W도 달라져야 하며, 재사용성이 떨어져 비용이 증가한다. =>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 계층이 등장했다. H/W + 응용S/W + 시스템S/W 시스템 S/W가 H/W와 S/W를 연결해주면서 의존성을 덜어준다. - 응용 S/W : 유저를 위한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