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XSS 취약점
- 데이터3법
- 코딩테스트
- 시저암호
- 파이썬 문법
- 백준
- 웹모의해킹
- 데이터 분석
- 함수
- 알고리즘
- docker
- 자료형
- 개인정보보호법
- 마이데이터
- 파이썬
- 회귀분석
- AWS
- 클라우드
- AI
- 개인정보보호
- 코테
- 정보보안
- 웹 모의해킹
- 도커
- 머신러닝
-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연습
- 컴퓨터 구조
- vagrant
- 데이터분석
- Today
- Total
찬란하게
[게임 개발] 게임 개발시 필요한 지표 본문
게임 유저, 매출, 투자 관련 지표내용이다.
[유저 관련 지표] | 뜻 |
UV (Unique visitor) |
일정기간 내에 게임의 접속한 실제 유저 수 |
DAU (Daily Active User) |
일단위로 측정한 UV |
WAU (Week Active User) |
주단위로 측정한 UV |
MAU (Monthly Active User) |
월 단위로 측정한 UV |
RU (Registered User) |
일정기간내에 게임에 등록된 유저 수 |
NRU (New Registered User) |
일정기간내에 등록된 신규 유저 수. |
ARU (Accumulate Register User) |
해당 기간까지의 등록된 누적 유저 수 |
MUV (Multigame Unique Visitor) |
해당 기간 동안 게임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하여 실제 게임을 플레이 한 회원 수 |
MTS (Mutigame Time Spent) |
해당 기간 동안의 평균 실제 플레이 타임 |
TS(Time Spent) |
해당기간 동안의 유저1인당 플레이 타임 |
CCU (Concurrent User) |
특정 시점에 접속한 동시 접속자 수 |
MCU (Maxium Concurrent User) |
하루 동안 가장 높은 동시접속자 수치. |
ACU (Average Concurrent User) |
하루 동안의 평균 동시 접속자 수 |
Stickness | 고착도 , (DAU/MAU)*100 높은 수치일수록 앱 재실행이 빈번함. |
[매출 관련 지표] |
|
BU (Buying user) |
구매유저, 일정기간내에 게임에 아이템 구매, 월정액 결제 등 돈을 지불한 유저 |
BU rate = BU/UV |
순방문자대비 결제 유저 비율 |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
유저 확보 비용으로 유저 1인을 확보하는데 소모되는 비용 |
CRC (Customer Retention Cost) |
유저 유지 비용으로 일정기간내에 유저1인을 유지하는데 소모되는 비용 |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
일정 기간 내 유저 1인당 평균 결제 금액 |
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
일정 기간내에 게임에 비용을 지불한 유저의 1인당 평균 결제 금액 |
PPU (Percentage of Paying Users) |
DAU 내에서 결제한 비율 |
LTV (Life time value) |
유저 1인당 게임에서 완전히 이탈할 때까지 지불하는 비용, 유저 1인당 예상되는 매출 기댓값 |
Entry Cost |
여러 가지 가격대의 상품을 제공할 때 유저의 최초 구매가 어떤 가격대에서 많이 일어나는지 측정 |
Sales by Purchase |
사용자의 구매 활동을 통해 집계된 매출 |
Sales by Advertisement |
광고 노출을 통해 집계된 매출 |
CPI (Cost per Install) |
게임 다운로드 후 설치하면 보상 |
CPA (Cost per Action) |
설치된 앱을 실행하면 보상, 유저가 특정 Action(행동)을 취할 때 광고 비용을 지불 |
CVR (ConVersion Rate) |
클릭 대비 신규유저 전환 비율 |
CPP (Cost per Play) |
CPA 이후 일정 기간 한번씩 실행할 때마다 보상 |
CPL (Cost per Level) |
정량적인 플레이에 대한 레벨을 설정한 뒤 보상 |
CPM (Cost Per Mille) |
1,000회 광고를 노출시키는 데 사용된 비용 <광고단가/광고 노출 수> X 1000 |
CPC (Cost Per Click) |
배너나 링크의 노출 횟수가 아닌 링크를 클릭했을 때만 광고 비용을 지불 |
ROAS |
Return On Advertising Spent |
'게임프로그래밍 > 게임 개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vs unreal (0) | 2023.02.20 |
---|---|
개발 직군 면접 비유적인 표현으로 이해하기! (0) | 2023.02.19 |
유니티 핵심 컴포턴트 정리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