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클라우드
- 백준
- 컴퓨터 구조
- vagrant
- 데이터분석
- 마이데이터
- AI
- 개인정보보호
- 정보보안
- 개인정보보호법
- 웹모의해킹
- 웹 모의해킹
- 함수
- 데이터3법
- 파이썬
- 도커
- 프로그래머스
- 파이썬 문법
- AWS
-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 머신러닝
- 자료형
- 코테
- 시저암호
- 데이터 분석
- XSS 취약점
- 코딩테스트 연습
- docker
- 회귀분석
- Today
- Total
찬란하게
[데이터 보안][python]실행환경/자료형/문자열, 리스트, 딕셔너리 본문
파이썬의 등장 배경
<파이썬의 장점 >
1. 파이썬은 인간다운 언어
2. 무료이지만 강력
3. 간결
4. 프로그래밍을 즐기게 해 준다.
5. 개발 속도가 빠르다.
6. 원소스 멀티 유즈 – GUI, 웹, 시스템…
파이썬은 시대에 흐름에 맞춰 나온 언어이다.
지금 시대는 기계가 인간에게 와주길 바란다. (앞으로 얼마나 더 인간에게 가까운 언어가 등장할까..?)
파이썬은 c언어와 비교해서 인간에게 더 가까운 언어이다.
그래서 더욱 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다.
간결하고, 개발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원소스 멀티 유즈라는 강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분석을 위한 파이썬
R vs Python vs etc
-R : 수학 통계 기반
-Python : 머신러닝 or 딥러닝
다양한 라이브러리 제공
R과 비교해서 파이썬은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R이 수학 통계에 강하다면, 파이썬은 머신러닝, 딥러닝에 강하다.
아나콘다 환경
주피터 노트북을 사용할 때 주의사항!
아나콘다를 사용할 때 윈도 10에서는 관리자 권한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유는 컴퓨터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H/W-시스템 S/W-응용 S/W 3 계층 구조에서 데이터들은 H/W에는 독립적이지만, 결국 OS에 의존적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MS사가 돈을 많이 벌고 있다)
주피터 노트북은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페이지 단위 출력된다.
번외 - 웹서비스의 원리
네트워크 모델 발전하면서 데이터가 로컬에서 외부로 이동 가능해졌다.
즉, 원격으로 두 대상(hw ~ sw) 간의 데이터 이동이 가능해졌다.
웹은 이 네트워크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범주에 따라 LAN OR WAN 모델로 나눌 수 있다.
데이터 이동 기술이 만들어진 이유는 1) 누구든지 언제든지(24h) 2) 화려하게(visualization) 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서버 –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과 요청해서 받는 쪽으로 나눠진다.
데이터 이동 기술이 만들어진 이유는 1) 누구든지 언제든지(24h) 2) 화려하게(visualization) 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고,
웹 서비스는 1) 누구든지 언제든지(24h) 2) 화려하게(visualization) 데이터를 볼 수 있게 3) www에서 이다.
웹서비스가 '1) 누구든지 언제든지(24h) 2) 화려하게(visualization) 데이터를 볼 수 있게 3) www에서'를 이루기 위해서
웹 서버 – 웹 클라이언트가 일을 하고, 아래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웹 서버/ 원하는 페이지를 준비한다.
-> 클라/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한다.
-> 웹 서버/ "시각화는 클라 네가 놀고 있으니까 네가 뿌려라" 얘기한다.
-> 클라/ 브라우저로 뿌린다.
주피터 노트북의 실행 과정은
1) 서버가 먼저 돌아야 한다.
-> 주피터의 httpd 데모 서비스 : 서버가 24시간 클라이언트의 페이지 단위의 요청을 언제든지 받아줄 수 있는 기술
2) 클라가 Request로 url요청 : ( 페이지의 위치정보 담아서 요청 -> 물리적인 위치(dir위치) X, 가상 경로(가상 위치정보) O )
-> 여기서 가상 경로로 요청하는 이유 : 다른 人에게 노출되면 안 되기 때문이다.
3) 클라가 http://localhost:8888 -> 가상 주소를 가지고 요청한다.
4) 서버에서는 페이지 하나를 만들어주는 작업을 한다. -> 커맨드에서 서버가 돌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
빅데이터 __ : 대량의 데이터를 입력으로
1) 패턴 찾기 : 통계학, 신경망과 같은 방법론을 활용한다.
2) 결과물로 일반화된 규칙이 나온다.
3-1) 결과물을 해석 하려하면 빅데이터 분석
3-2) 해석을 안하고 기계로 돌려서 예측하면 머신러닝
전처리 과정 : 앞에 어떤 데이터를 넣어주는가?
(혹시 안되면 모두 리스트시켜라. 그럼 돌아가긴 한다.)
자료형
자료형 : 변수에 담을 때 값의 유형
값을 담으면 숫자, 문자열, BOOL이고,
주소를 담으면 리스트, 함수가 된다.
함수
함수 : 코드의 집합체, 첫 주소를 담고 있다.
문자열
리스트
리스트 : 대용량의 데이터를 한묶음 하는 것.
데이터를 하나로 묶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간격이 동일해야 한다. ( 첫 주소 값만 저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파이썬에서는 오프셋이 다르더라도 --> 자료형이 다르더라도 알아서 잘 구분해준다.
리스트는 순차적 구조이다.
순차적 구조이기 때문에 인덱싱으로 탐색한다.
리스트 VS 튜플
리스트는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변경이 불가능하다!
딕셔너리
딕셔너리 : 연관 사상(mapping 매칭) 기법 , 해시 함수 기법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 데이터 여러 개를 순차적(첫 주소 기억)으로 구성하지 않는다.
함수 : 1:1로 매핑 되는 기능을 말한다.
- 해시함수 : 문자열이 들어가서 문자열이 나오는 함수로,
긴 문자열을 짧은 문자열로 나오게 하거나, 다른 문자열로 나오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AI (인공지능) > 파이썬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python] 함수, 클래스, 패키지 (0) | 2021.03.24 |
---|---|
[데이터보안][python] 함수, 객체지향, 클래스 (0) | 2021.03.22 |
[데이터보안][python]자료형-딕셔너리, set, 모듈화, 함수 (0) | 2021.03.22 |
[데이터 보안][python]프로그래밍 언어/sw공학 (0) | 2021.03.21 |
[데이터 보안][python] 컴퓨터 구조 , HW, SW 의미 (0) | 2021.03.15 |